1. 투고 규정에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것은 최신판 투레비안 논문작성법에 따라 작성한다. (참조: Turabian, Kate L., A Manual for Writer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1997).
2. 원고는 한글 표기를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괄호 안에 한자나 고전어 및 현대 외국어를 사용한다(원고 성격에 따라 예외를 인정한다.). 따라서 인명, 지명, 그 밖의 고유명사도 한글로 쓰고, 원자(原字)는 처음 1회에 한하여 괄호 안에 밝힌다.
예) 칼빈(Johannes Calvinus, 1509-1564).
3. 논문의 분량은 통상 A4 용지 15매 전후로 하고, 논평은 A4용지 3-5매를 기준으로 한다. 분량을 초과한 논문은 접수하지 않을 수 있다.
① 용지 종류 및 여백: 위쪽 35mm, 오른쪽 및 왼쪽 30mm, 아래쪽 30mm
② 글자 모양 및 크기: 신명조 10포인트
③ 줄 간격: 160%
4. 주(註)는 각주를 사용하며, 각주의 예는 논문작성법에 관한 별지와 같다.
5. 투고자는 한글 프로그램으로(IBM 호환 가능한 문서 작성 프로그램) 작성하여 심사용 원고와 함께 제출한다. 제출된 논문은 반환하지 않는다. 원고 원본은 본인이 반드시 보관한다.
6. 투고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야 한다.
① 별도면으로 된 영어와 한글로 각각 표기한 제목과 저자 및 소속, 전공
② 저자 이름 없이 제목을 밝힌 논문의 본문: 단위의 표기는 I. A. 1. a. 1). a)순으로 구성하여야 하며, 반드시 제목 위와 아래를 한 행씩 띄어준다.
③ 영문과 국문 초록: A4 용지 각 1매 이상의 분량으로 한글과 영어로 각각 작성하여야 하며, 제목, 필자명, 소속, 및 직책을 한글과 영어로 각각 표기한다.
④ 주제어: 색인의 DB를 위하여 한글 및 영어 주제어(key word)를 각각 6개 이상 기재한다.
7.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 책임저자와 공동저자의 구분을 명시하여야 한다.
8. 원고 제출 마감은 출판 50일 전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9. 투고원고가 투고 규정에 현저히 위반되는 경우 편집위원장은 투고자에게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1. 국내외 문헌을 인용함에 있어 최근의 문헌까지 인용하되 가급적 교과서 범주를 넘어 학술논문 수준의 문헌을 인용하고, 교과서의 경우 출판연도와 함께 판수를 명확히 기재한다.
2. 원고는 원칙적으로 한글로 작성하며, 한자와 외국어는 혼동이 생길 수 있는 경우 괄호 안에 넣어 표기한다.
3. 외국의 논문을 번역하여 게재논문의 기초로 삼아서는 안 된다.
1. 성서의 텍스트 인용은 “개역판” 텍스트를 기본으로 하되, 그밖에 다른 번역본이나 자신의 개인 사역을 사용할 경우 이를 반드시 명기해야 한다.
2. 성서 텍스트의 인용 표기법은 다음의 범례에 준한다: 창 1:1-2:3; 시 110:1-3; 아모스서 5:2-4; 마3:1-4; 막 4:9, 13, 5:1-3; 롬 12:1-2; 엡 4:3, 5:6-7
제 5 조 (문헌 인용의 방법) 다른 문헌의 내용을 인용하거나 논증의 참고자료를 제시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방식에 의하고, 각주에 그 출처를 밝혀야 한다.
1. 인용 내용이 많은 경우 별도의 문단으로 인용하고, 본문과 구별하여 인용 문단 위아래를 한 줄씩 띄우고, 글자크기를 9포인트, 그리고 왼쪽 여백은 40(칸)으로 한다.
2. 인용 내용이 많지 않은 경우, 인용 부호(“ ”)를 사용한다.
3. 인용 내용 중 일부를 생략하는 경우, 생략부호(…)를 사용하고,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표시([])를 한다.
1. 각주는 원칙적으로 한글을 사용하고, 인용 문헌이 외국문헌인 경우 저자명, 논문제목, 서명, 또는 잡지명, 발행지, 출판사 등과 같은 고유명사를 제외한 나머지는 한글로 표기한다.
2. 인용 문헌이 여러 개인 경우 각각의 문헌 사이에 세미콜론(;)을 표기하여 구분한다.
3. 문헌을 재인용하는 경우, 원래의 문헌을 표시하고 “재인용”이라고 표기한다.
1. 인용 문헌이 단행본인 경우, 저자, 서명, 판수, 발행지: 출판사, 출판여도, 면수의 순서로 기재한다. 외국어 단행본은 이탤릭체로, 동양어 단행본은 쌍꺽쇠괄호(『』)로 제목을 묶는다. 단행본을 제외한 학술지 잡지, 신문명, 연구보고서 등의 경우에는 홑꺽쇠 제목을 묶는다.
예) 오우성, 『데살로니가전·후서』(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5), 120; Joseph A,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vol. 1 ( Garden City, N.Y.: Doubleday & Company, Inc., 1983), 220-23; 그리고 강경선, “성체줄기세포연구와 생명 윤리 문제의 극복 방안”, 생명은 수정 순간부터, 성산 생명 연구소 설립 기념 심포지움 (2011년 12월): 5-9.
2. 인용 문헌이 논문인 경우, 저자 서명(잡지인 경우에는 잡지명, 권수, 호수), 발행지: 출판사, 출판연월, 면수의 순서로 기재한다. 그리고 논문 제목은 동양문헌과 서양문헌 모두 인용 부호(“")안에 기재한다.
예) 조광호,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율법 이해”, ‘신약논단’ 10/4 (2003): 965-93; Luke Timothy Johnson, "The Mirror of Remembrance (James 1:22-25)," CBQ 50 (1988): 636.
3. 서명 및 잡지명은 그 명칭의 전부를 기재한다. 단, 외국문헌의 경우 처음에는 그 전부를 표기하고, 이후부터 악어로 기재할 수 있다.
4. 저자가 두 명인 경우, 저자명 사이에 가운데점(•)을 표시하고, 세명 이상인 경우 대표 저자만을 표기한 후 “외”라고 기재한다.
5. 인용 문헌이 편집물인 경우, 저자명 뒤에 “편” (또는 ed.)이라고 기재한다.
6. 인용 문헌이 번역물인 경우, 저자명 뒤에 원서명, 번역자의 이름을 기입한 후 “역”이라고 기재하고, 한국어 책명, 출판정보의 순으로 쓴다.
7. 각주에서 인용 처리한 모든 문헌들은(반드시 이 문헌들에 한하여!) 논문 뒤에 참고문헌으로 기재하되, 한글 목록 먼저 가, 나, 다 순으로 정렬한다. 그 뒤에 외국어 목록은 알파벳순으로 기재하되, 각주의 경우와 달리 필자 또는 저자의 성(family name)을 먼저 쓰고 본명을 그 다음에 쓴다. 아울러 참고 문헌은 괄호를 풀고 일부 컴마(,)를 마침표(.)로 바꾼다.
예) 오우성. 데살로니가전․후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5.
Fitzmyer. Joseph A.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Vol. 1. Garden City, N.Y.: Doubleday 1983.
조광호. “갈라디아서에 나타난 바울의 율법 이해”. 신약논단 10/4 (2003): 965-93
Johnson. Luke Timothy. "The Mirror of Remembrance(James 1:22-25)." CBQ 50 (1988): 632-45
1. 같은 문헌을 여러 차례 인용할 경우, 처음에만 전체 문헌정보를 기재하고, 두 번째부터는 출판도시, 출판사, 연대 등을 기재하지 않으며, 제목을 약식으로 기재한다.
예) 오우성, 데살로니가전․후서, 125; Fitzmyer,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223.
2. 각주에서 사용해 왔던 Loc. cit. 이나 op. cit. 그리고 Ibid. 같은 생략기호는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 저자명, 축약된 문헌명, 인용 페이지 순으로 기록한다.
예) Fitzmyer, The Gospel and Letters of John (Nashville: Abingdon, 1998), 71.
1 금동철, 『구원의 시학』 (서울: 새미, 2000), 25
3.
2 George Stuart Fullerton, A System of Metaphysics (New York: Greenwood Press, 1968), 38-40.
3 우리문학연구회 편, 『한국문학론』 (서울: 일월서각, 1981),
4 Robert von Hallberg, ed., Canon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4), 225.
5 후스토 곤잘레스, 『초대교회사』, 서영일 역 (서울: 은성, 1995), 245.
6 오토 켈러 편, 『헤겔 철학 서설』, 황태연 역 (서울: 새밭, 1980), 35.
7 Wolfhart Pannenberg, ed., Revelation as History, trans. David Ranskou (New York: The Macmillan co., 1968), 56-58.
8 August von Haxthausen, Studies on the Interior of Russia, ed. S. Frederick Starr, trans. Eleanor L. M. Schmid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2), 37.
9 임마누엘 칸트,『순수이성비판』 세계사상교양전집 제3권, 윤성범 역 (서울: 을유문화사, 1971), 460-61.
10 Verner W. Clapp, The Future of the Research Library, Phineas W. Windsor Series in Librarianship 8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64), 102-104.
가) 학술지에 실린 논문
11 이영희, “중국외교의 이론과 실제”, 「정경연구」 제18집 (1971. 1): 30.
12 Raymond Johnston, “Creation, Culture and Charsmatics," The Scottish Bulletin of Evangelical Theology 2 (May 1984): 23.
나) 잡지에 실린 논문
13 한철하, “하나님에 대한 무관심”, 「빛과 소금」1986년 1월호, 17.
14 Bruce Weber, "The Myth Maker: The Creative Mind of Novelist E. L. Doctorow," New York Times Magazine 20 October 1985, 42.
다) 자신의 논문집에 실린 논문
15 최승호, “청록집에 나타난 생명시학과 근대성 비판”, 「서정시의 이데올로기와 수사학」 (서울: 국학자료원, 2002), 25.
라) 다른 사람이 편집한 논문집에 실린 논문
16 문흥술, “박목월의 생애와 사상”, 「박목월」, 박현수 편 (서울: 새미, 2002), 13.
17 죤 레센린크, “그리스도, 율법, 기독교”,「칼빈에 관한 신학 논문」, 도날드 K. 맥킴 편, 한국칼빈주의연구원 편역 (서울: 기독교문사, 1986), 203.
18 Paul Tillich, "Being and Love," in Moral Principles of Action, ed. Ruth N. Anshen (New York: Harper & Row, 1953), 398.
마) 학위 논문인 경우
19 이정로, “경제개발유형의 비교 분석을 통한 한국 경제개발에 관한 고찰” (경제학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2), 40.
20 O. C. Phillips, "The Influence of Ovid on Lucan Bellum Civile"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hicago, 1962), 19.
바) 여러 저자의 문헌(들)을 참고한 경우
21 Stephen Neill and T. Wright,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1861-1986, 2nd ed. (New York: Oxford, 1988), 105.
22 정규남, 『구약총론』 (서울: 복음주의신행협회, 1985), 67; C. K. Beal, "The Use of the Old Testament in Revilation," in It is Written: Scripture Citing Scripture, eds. D. A. Carson and H. G. M. Williams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318-36; 손석태, “바울과 어거스틴”, 「성경과 신학」 제5집 (1987), 109.